프로그래머스
-
[프로그래머스] Python - 거리두기 확인하기메모/알고리즘 2022. 5. 10. 20:10
코딩테스트 연습 - 거리두기 확인하기 [["POOOP", "OXXOX", "OPXPX", "OOXOX", "POXXP"], ["POOPX", "OXPXP", "PXXXO", "OXXXO", "OOOPP"], ["PXOPX", "OXOXP", "OXPOX", "OXXOP", "PXPOX"], ["OOOXX", "XOOOX", "OOOXX", "OXOOX", "OOOOO"], ["PXPXP", "XPXPX", "PXPXP", "XPXPX", "PXPXP"]] [1, 0, 1, 1, 1]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 레벨2 문제로 카카오 인턴십 코딩테스트 출제 문제다. 주어진 리스트에서 사람들이 거리두기를 지키는지 확인하면 된다. 이 문제의 경우 BFS-FloodFill로 해결할 수 있었다. ..
-
[프로그래머스] Python - 더 맵게메모/알고리즘 2022. 4. 1. 00:40
코딩테스트 연습 - 더 맵게 매운 것을 좋아하는 Leo는 모든 음식의 스코빌 지수를 K 이상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모든 음식의 스코빌 지수를 K 이상으로 만들기 위해 Leo는 스코빌 지수가 가장 낮은 두 개의 음식을 아래와 같 programmers.co.kr 정렬을 이용하는 문제다. 최소 힙을 사용해서 지속적으로 최소값 2개를 빼오고 그 결과를 다시 넣는 형태로 구현했다. 여기까지의 구현은 정말 누구나 생각할 수 있고 쉬운 난이도인데 -1을 출력하는 조건에서 살짝 고민을 했다. K 이상의 맵기를 만들 수 없는 상황이면 2개의 최소값을 뽑아 올 수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여러 번 조건을 바꿔봐도 마지막 TC에서 오답처리 되길래 다른 사람의 코드를 보니 Index Error로 예외처리를 해주는 것을 확인했..
-
[프로그래머스] Python - 네트워크메모/알고리즘 2022. 2. 14. 16:20
코딩테스트 연습 -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의 DFS/BFS 레벨3 문제다. 네트워크 노드의 개수와 각 노드가 연결된 노드의 정보가 주어지면 총 네트워크의 개수가 몇 개 인지 확인해야 한다. 나는 우선 위 그림 처럼 가상의 Root를 주고 시작했다. Root로부터 깊이 우선 탐색을 수행한다. 접근하는 모든 노드의 인덱스를 키로 딕셔너리에 저장하고 현재의 탐색의 시작 노드 번호를 값으로 추가한다. 첫번째 경우에서는 1번 노드에 접근하고 자기 자신을 제외한 연결된 모든 노드를 탐색한다. 1번..
-
[프로그래머스] Python - 타겟 넘버메모/알고리즘 2022. 2. 14. 16:07
코딩테스트 연습 - 타겟 넘버 n개의 음이 아닌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을 순서를 바꾸지 않고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 1, 1, 1, 1]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의 DFS/BFS 레벨2 문제다. 숫자들이 리스트로 주어지고 각 숫자들을 서로 더하거나 뺀 결과가 타겟과 같은 경우가 몇 개 인지 확인하는 문제다. # target is 3 numbers = [1,1,1,1,1] -1+1+1+1+1 = 3 +1-1+1+1+1 = 3 +1+1-1+1+1 = 3 +1+1+1-1+1 = 3 +1+1+1+1-1 = 3 여러 경우의 수 중 위와 같이 타겟인 값을 찾아야 한다. 나는 DFS를 이용해서 풀었..
-
[프로그래머스] Python - 가장 큰 수메모/알고리즘 2022. 2. 3. 00:33
코딩테스트 연습 - 가장 큰 수 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 예를 들어, 주어진 정수가 [6, 10, 2]라면 [6102, 6210, 1062, 1026, 2610, 2106]를 만들 수 있고, 이중 가장 큰 programmers.co.kr 프로그래머스의 정렬 레벨2 문제다. 사전식 정렬을 이용하는데 반례가 존재한다. "30" ,"3" # 답 "330" # 반례 "303" 위와 같은 두 수를 문제의 의도대로라면 큰 수가 앞에 와야하는데 사전식 정렬을 이용하면 "30"이 "3"보다 앞에 오게 된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각 값에 3을 곱했다. 3을 곱한 이유는 천의 자리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다. "3" -> "333" "30" -> "..